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다양한 재테크방식

10% 저렴하게 사자(서울사랑상품권, 경기지역화폐)

재테크를 잘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절약과 경제공부도 중요하지만 소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생활비로 소비하는 지출을 10%나 확정적으로 할인해주는 지역화폐를 안 쓸 이유는 없겠죠? (저도 알아보자마자 바로 모바일 상품권 결제 딱!) 또한, 카드처럼 소상공인이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가 있지 않고(서울사랑상품권 수수료 0%) 소상공인들에게 세액공제도 해주는 만큼 소비자인 저희들은 눈치 보면서 상품권을 사용할 일 없습니다. 더구나 모바일 어플로 구매와 결제가 간편해 사용이 쉽습니다. 그럼 소상공인들도 살고 저희도 저렴하게 소비가 가능한 서울시, 경기도 지역화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ttps://honeylikelife77.tistory.com/47

 

20% 저렴하게 사자(서울사랑 상품권 사용처와 경기지역화폐)

현재 정부에서 경제활성화 대책을 세우고 있는 만큼 서울사랑상품권의 할인율을 기존 7%에서 무려 20%까지 확대했습니다. 제로페이가 가능한 전 매장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전국 4만 3천개의 편의점에서 최대 30%..

honeylikelife77.tistory.com

위 링크 글은 최근 추가된 할인혜택에 대한 설명을 적어놨습니다.



서울시 서울사랑상품권 

기존 할인율 7% 현재 할인율 10%(4월 말까지 10% 할인)

(10% 할인은 자치구당 한도 100만원까지 입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30%

 

요즘 코로나19로 인해 소상공인들이 어려워진 만큼 경제활성화 방안으로 캐시백 도입 등 총 15% 할인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사용 가능 지역

거주지역 상관없이 발행 자치구 내에서 사용 가능 (ex 종로사랑상품권 구매의 경우 종로구내에서 사용 가능) 

현재 시행중인 지역 강동 강북 관악 금천 도봉 동대문 동작 마포 서대문 성동 양천 영등포 은평 종로 중구 중락구
시행 예정 지역 용산 광진 노원 강서 구로 서초 송파

●강남 광진 구로 송파구는 5 - 6월 경 시행 예정이라고 합니다.


사용방법

1. 상품권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구매 앱을 설치합니다. 구매 앱은(비플 제로페이, 체크페이, 머니트리, 농협, 올원뱅크)이 있고, 은행앱은(경남, 부산, 대구, 광주, 전북)이 있습니다.

 

2. 설치된 어플에서 구매(환불)할 은행계좌 등록 후 구매

 

3. 구매하실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어플을 실행 후 QR코드로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는 비플 어플로 결제했습니다. 하시는 방법 참고 바랍니다.

서울사랑 상품권은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제로페이 가맹점은 서울에 18만 개가 있으며 5대 편의점에서도 사용 가능해요. (소상공인들을 위한 취지 이므로 백화점 다이소 등 대형매장에서는 사용 불가합니다)

 

 


 

경기 지역화폐은 보통 6%할인 발행하며 가끔 프로모션으로 10% 할인 발행할 때가 있습니다.(코로나19로 인한 경기활성화 대책으로 현재는 10%할인입니다)(경지지역화폐는 31개의 시군 모두에서 발행합니다) 또한, 연말정산 소득공제 30%됩니다.


 카드형 종이형 모바일형이 있으며 각 시군마다 다릅니다.

카드형
종이형 성남 안양 평택 시흥 의왕 가평 포천 과천 안양
모바일형 성남 시흥 김포

 

사용방법(카드형)

1. 경기지역화폐 어플을 설치합니다.

2. 사용하시고자 하는 지역을 입력 후 카드를 신청합니다.

3. 결제(환불) 계좌를 연결하시고 충천 후 사용합니다. (대형마트, 백화점 제외)

 

<종이화폐>는 농협지점에서 구매가능하며, 상품권 총액의 70-80% 사용 시 잔돈은 현금지급 가능합니다.

 

<모바일형>은 경지지역화폐 어플 설치하여 상품권 구매 후 지문이나 QR코드로 결제하시면 됩니다.

 

사용처

경기지역화폐 사이트(www.gmoney.or.kr)에서 가맹점 찾기 클릭하시면 됩니다. 저도 찾아보니 가맹점이 많습니다 활용하세요!!


 TIP- 경기도 정책 발행 지역화폐인 산후조리비출생아 1인당 50만원의 지원금도 있습니다. 해당되시는 분을 경기지역화폐 사이트에서 신청하세요. (2019. 1. 1 출생아부터 적용)